漢詩♡講座170 春望詞 春望詞(춘망사)<설도(薛濤); 768-832> .크기=반절지+4장 1 花開不同賞 花落不同悲(화개부동상 화락부동비) 欲問相思處 花開花落時(욕문상사처 화개화락시 피는 꽃 함께 즐길 이 없고. 지는 꽃 함께 슬퍼할 이 없네 사랑하는 그대는 어디에 있는가. 꽃은피고 지는 이 때에 2 攬結草同心 將.. 2020. 1. 11. 對酒有感 對酒還憐白髮多(대주환련백발다) : 많은백발 술잔앞에 다시금 서글픈데 年光如水不停波(년광여수부정파) : 가는세월 물과같아 쉼 없이 흘러가네 山鳥傷春春已暮(산조상춘춘이모) : 산새도 시름하나 봄은이미 저무는데 百般啼奈落花何(백반제내낙화하) : 아무리 울어본들 지는꽃을 어이.. 2020. 1. 11. 桐千年老 恒藏曲 申欽(신흠)의 象村集(상촌집)에 수록된 충절시 桐千年老 恒藏曲 (동천년로 항장곡) 오동나무는 천년을 늙어도 변함없이 제 곡조를 간직하고, 梅一生寒 不賣香 (매일생한 불매향) 매화는 일생동안 추위의 고통속에서도 향기를 뽐내지 않으며 月到千虧 餘本質 (월도천휴 여본질) 달은 천번.. 2020. 1. 11.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