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講座170 梅經寒苦發淸香 梅經寒苦發淸香(매경한고발청향) 人涉艱難顯其節(인섭간난현기절) 매화는 모진 추위를 겪을 수록 맑은 향기를 발하고, 사람은 어려움을 겪을 수록 절개가 드러난다 2020. 1. 12. 五老峰爲筆 作詩(작시) 이백(太白 李白701~762;唐) 五老峰爲筆(오로봉위필) 오로봉으로 붓을 삼고 三湘作硯池(삼상작연지) 삼상물로 먹을 갈아 靑天一張紙(청천일장지) 푸른 하늘 한 장 종이에 寫我腹中詩(사아복중시) 내 뱃속의 시를 다 써내리. 2020. 1. 12. 동양화(東洋畵) 읽는 법(法) 동양화(東洋畵) 읽는 법(法)* ◇ 동양화는 단순히 보는 그림이 아니라 읽는 그림입니다. ◇ 동양화는 그 그림을 감상하기에 앞서 그 그림이 나타내는 뜻(意味 의미)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 동양화는 반드시 나타내고자하는 뜻이 있으므로 이치에 맞지 않거나 일정한 법칙이나 제한등을 .. 2020. 1. 11.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