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筆♡揮之315 봄[春]-묵란(墨蘭) 天 增 歲 月 春 滿 乾 坤 말에서 내려 이별주를 따르며 여쭙습니다. "어디로 가시려는지요?" 무뚝뚝한 님께서 답해 주십니다. "…… 뜻대로 되지 않아 종남산으로나 갈까 하고……!" "다정한 내 님아, 더 여쭙지 않을 터이니 가시옵소서. 거기에는 흰 구름 유유히 늘 님과 함께 하리니……!" 2019. 9. 21. 四君子 四 君 子 원래 "君子(군자)"라는 명칭은 재질과 德(덕)을 갖춘 인물을 뜻하며 춘추 전국 시 대 때 널리 쓰인 어휘이다. 회화에 있어서는 "梅, 蘭, 菊, 竹"이 가장 고결하고 높은 격조와 지조가 있다 하여 "사군자"라 한다. 여기에 "소나무[松]"를 보태어 "五友(오우:다섯 벗)"라 일컫는다. 까닭.. 2019. 9. 21. 偶然欲寫 四君子(사군자) 중에서도 蘭(난)만큼은 문득 붓을 들고 싶을 때 쳐야 바라던 게 나온다. 억지로 붓을 들어서는 바라던 것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예전 大家(대가)들은 일기 화창하고 먹빛도 좋아야 하며, 특히 心身(심신)이 아울러 淸澄 (청징)한 그 순간, 바라던 "작품"을 얻게 된다고 하.. 2019. 9. 21. 이전 1 ··· 88 89 90 91 92 93 94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