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筆♡揮之315 陶淵明 雜詩 陶淵明의 雜詩중에서 落地爲兄弟(락지위형제) 何必骨肉親(하필골육친) 得歡當作樂(득환당작악) 斗酒聚比隣(두주취비린) 태어나면 모두가 형제가 되는 것 어찌 꼭 한 핏줄 사이라야 하랴. 즐거울 땐 응당 풍류 즐겨야 하니 한 말 술로 이웃과 어울려 본다네. * 落地 - 착지하다, 태어나다, .. 2019. 10. 26. 秋日作 - 松江 鄭澈 秋日作(추일작) - 송강 정철(松江 鄭澈) -- 가을날에 -- 山雨夜鳴竹(산우야명죽) - 산 속의 빗줄기가 밤새 대숲을 울리고 草蟲秋近床(초충추근상) - 풀벌레 소리 가을되니 침상에 가깝네 流年那可駐(유년나가주) - 흐르는 세월 어찌 멈출 수 있으랴 白髮不禁長(백발불금장) - 백발이 자라는 .. 2019. 10. 26. 凡事留人情 凡事留人情 後來好相見 凡事留人情(범사유인정) 後來好相見(후래호상견) 모든 일에 인정을 남겨두라. 훗날 만났을때 서로 좋은 낯으로 보게된다. <명심보감>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참고 매사에 인정을 남겨두면 훗날 좋은 얼굴로 다시 만날수 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남에게 차마 .. 2019. 10. 26.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