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을 에 [山 居 秋 暝]
| |||||||||
| |||||||||
[가을에]
비 개인 山中(산중) 짙어만 가는 가을 빛 달빛 어리비치는 소나무와 소나무 사이 돌돌돌 흘러내리는 서늘한 샘물
대숲 버석이는 소리에 빨래 마친 아낙네는 돌아들 오고 연잎[蓮] 일렁임에 고깃배는 지나간다 꽃아! 질테면 지려므나 님은 나와 함께 하시리니……!
< 芝山房譯 >
| ▲ [唐詩全書(당 시전서)] | ||||||||
金 澤 (譯) | 金 達 鎭 (譯) | ||||||||
비 개인 뒤의 산곡 더 없이 아늑한데 가을철 날씨 너무나 쾌청하네 밝은 달빛, 송림 새로 비껴들고 맑은 샘물, 돌 위로 흘러가네
대숲 속에 떠들썩한 浣衣女(완의녀) 돌아오 고 흔들리는 연꽃 아래 고깃배 스쳐 가네 봄날의 꽃 향기 없은들 어떠하니 王孫(왕손)도 스스로 여기에 머무리라
| 쓸쓸한 山(산) 비가 막 갠 뒤에 해질 녘 날씨는 가을이 깊다 밝은 달빛은 숲 사이를 비추고 맑은 샘물은 돌 위에 흐른다
대숲이 시끄러운가, 빨래꾼 돌아오고 연꽃이 움직이는가, 고깃배 나려간다 봄의 꽃다운 풀 없어진들 어떠리 王孫(왕손)이 제 스스로 여기에 머무리니 | ||||||||
《註 釋]》 ※ 山居秋暝(산거추명) : 金澤(김택) 씨는 "산중 처소의 가을 저녁"으로 풀이하였 고, 金達鎭(김달진) 씨는 "산의 가을 저녁"이라 하였다. ※ 秋暝(추명) : 가을 저녁. 金達鎭(김달진) 씨는 자기 책에 "어두울 명(暝)"자를 "눈 감을 명(瞑)"으로 소개 해 놓았다. 편집자의 실수인지, 본인의 실수인지는 모르나, 어쨌든 충분한 교열 과정을 거치지 않은 본인 잘못이다. ※ 隨意(수의) : 金澤(김택) 씨는 이 어휘를 "그럴지언정", "그런들 어떠하랴"로 풀 이하였고, 金達鎭(김달진) 씨는 "마음대로"로 풀이하였다. 물론 이러한 뜻이 전 혀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어떤 풀이가 이 詩(시)에 더 걸맞는가 하는 것이다. 나, 芝山房은 "뜻대로 하다"로 보았으나, 풀이에 굳이 반영하지는 않았다. ※ 春芳(춘방) : 金達鎭(김달진) 씨는 이것을 "봄의 향기로운 풀"이라 하였는데, 도 대체 "향기로운 풀"은 어떤 것인가? 물론 봄풀은 향긋하긴 하다. 그냥 "봄꽃"으로 새기면 된다. 바로 뒤에 "歇(헐)"자가 놓이지 않았는가! 이 글자는 "쉬다"의 뜻도 있지만, "떨 어져 없어지다"의 의미로 새겨야 한다. 풀이란 늦은 가을까지도 싱싱하지만, 꽃 은 다르다. 가을이 되면 대부분 시들어 떨어져 버리게 된다. ※ 王孫(왕손) : 제왕의 자식 또는 귀족의 자제를 뜻한다. 金澤(김택) 씨는 위 뜻 외에 "詩人[王維]"를 의미한다고 주장하였고, 金達鎭(김달 진) 씨는 "숨어 사는 이[隱者]"라 주장하였다. 나, 芝山房은 "상대방을 존중하여 일컫는 말"임을 내세워 "님"으로 새긴다.
| |||||||||
[芝山房 감상]
이 詩는 唐(당)의 王維(왕유) 솜씨이다. 뜻이 좋아 書藝(서예) 공모전에 너나 없이 작품으로 만들어 출품하는 것이기도 하 다. 그런데 이 詩를 풀이한 사람에 따라 그 맛도 취향도 모두 달라 뒷맛이 개운치 않다. 부족하나마 芝山房이 풀이한 것과 나머지 두 분의 漢文(한문) 大家(대가)가 풀이 한 글을 함께 올려 보았다.
어떤 이들은 이 [山居秋暝(산거추명)]을 李白(이백)의 情熱(정열)이나 杜甫(두보) 의 雄渾(웅혼)한 힘이 없다고 낮게 평가한다. 천만의 말씀이요, 무식한 말씀이다. 쓸쓸한 가을 저녁 풍경을 읊는데 무슨 놈의 奔放(분방)한 情熱(정열)이 필요하며, 雄渾(웅혼)한 氣力(기력)이 가당키나 한 것인가? 이 芝山房이 특히 좋아하는 [竹喧歸浣女, 蓮動下漁舟]라는 구절에서 "가을"의 느 낌이 피부에 절절히 와 닿는다. 이런 정도의 경지는 禪味(선미)를 모르고서는 도저히 도달할 수 없다.
|
'一筆♡揮之'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相思[李白] (0) | 2019.09.21 |
---|---|
병 문안 오신 내님 (0) | 2019.09.21 |
늙었구나~![老矣] (0) | 2019.09.21 |
棹歌 兩岸 (0) | 2019.09.21 |
달님을 바라보며 (0) | 2019.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