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66

讀書四時樂 사시독서락 四時讀書樂 사계절 책 읽는 즐거움 / 翁森(? 朱熹 ) 산광조함수요랑山光照檻水繞廊 산 빛은 난간을 비추고 물은 행랑을 둘러 가는데무우귀영춘화향舞雩歸詠春花香 비 오라 춤추며 노래 읊으며 돌아오니 봄꽃도 향기롭다호조지두역붕우好鳥枝頭亦朋友 가지 끝 예쁜 새도 또한 벗이요낙화수면개문장落花水面皆文章 물위에 떨어진 꽃도 다 무늬요 글이구나차타막견소광로蹉跎莫遣韶光老 하릴없이 봄 풍광이 쇠하는 것을 그냥 보내지 말고인생유유독서호人生惟有讀書好 인생에는 모름지기 독서라는 좋은 것이 있나니독서지락락여하讀書之樂樂如何 책 읽는 즐거움이 어떠한 즐거움인가녹만창전초부제綠滿窓前草不除 창밖이 초록으로 가득해도 풀을 뽑지 않는다네 무우영귀舞雩詠歸 ; 자연을 즐기는 쾌락을 이름 차타蹉跎 ; 1. 미끄러져 넘어짐 2. 시기를 잃.. 2025. 7. 9.
冬夜讀書示子聿 - 陸游 冬夜讀書示子聿 (동야독서시자율) - 陸游(육유)겨울밤 독서하다 자식 율에게 가르치다 古人學問無遺力 (고인학문무유력) / 옛 사람들은 학문을 함에 힘을 남기지 않았으니少壯工夫老始成 (소장공부노시성) / 젊어서 공부한 것 늙어서 비로소 이루나니紙上得來終覺淺 (지상득래종각천) / 책에서 얻은 지식은 끝내 그 깊이가 얕은것이니絶知此事要躬行 (절지차사요궁행) / 제대로 알려면 몸소 실천해야 할 것이다. 2025. 7. 9.
用行舍藏 用行舍藏 용행사장쓰면 행하고 버리면 감춘다는 뜻으로,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자신의 도를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다 用 (쓸 용): 쓰다, 작용, 용도(用途), 방비(防備), 비발.行 (갈 행): 가다, 행위, 줄, 행실, 대열(隊列).舍 (둘 사): 집, 두다, 풀다, 가옥(家屋), 놓음.藏 (감출 장): 감추다, 곳집, 간직함, 품다, 저장하다. 子謂顔淵曰: “用之則行, 舍之則藏, 唯我與爾有是夫!”(자위안연왈 용지즉행 사지즉장 유아여이유시부)선생님이(子) 안연에게 말하길(謂顔淵曰): “쓰이면(用之則) 행하고(行), 버려지면(舍之則) 숨는 것은(藏), 오직(唯)나와 너에게만(我與爾) 이런 것이 있을 것이다(有是夫)!”라고 했다. 子路曰: “子行三軍, 則誰與?”(자로왈 자행삼군 즉수여).. 2025.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