書訣 金正喜

書之爲道 虛運也 若天然 天有南北極 以爲之樞 紐繫於其所不動者 而後能運其所常動之天 書之爲道 亦若是則已矣
서지위도 허운야 약천연 천유남북극 이위지추 뉴계어기소부동자 이후능운기소상동지천 서지위도 역약시칙이의
글씨가 법도로 삼아야 할 것은 텅 비게 하여 움직여 가는 것이다. 마치 하늘과 같으니 하늘은 남북극이 있어서 그것으로 굴대(樞)를 삼아 그 움직이지 않는 곳에 잡아매고 그런 뒤에 능히 그 항상 움직이는 하늘을 움직여 가게 할 수 있다. 글씨가 법도로 삼는 것도 역시 이와 같을 뿐이다.
書訣(서결)
-原文-
書之爲道 虛運也. 若天然 天有南北極 以爲之樞 紐繫於其所不動者 而後能雲其所常動之天. 是故書成於筆 筆運於指 指運於腕 腕運於肘 肘運於臂. 臂也 肘也 腕也 指也 皆運於其右體者也. 右體則運於其左體 左右體者 體之運於上者也. 而上體則運於其下體 下體者兩足也. 兩足著地 拇踵下鉤 如屐之有齒 以刻於地者 然此之謂下體之實也. 下體實矣. 而後能運上體之虛. 然上體亦有其實焉者 實其左體也. 左體凝然據几 與下貳相屬焉. 由是以三體之實 而運右一體之虛 而於是右一體者 乃其至實夫.
글씨가 법도로 삼아야 할 것은 텅 비게 하여 움직여 가는 것이다. 마치 하늘과 같으니 하늘은 남북극이 있으니 그것으로 축을 삼아 그 움직이지 않는 곳에 잡아매고 그런 뒤에 능히 그 항상 움직이는 하늘을 움직여 가게 할 수 있다. 글씨가 법도로 삼는 것도 역시 이와 같을 뿐이다.
이런 까닭으로 글 쓰는 붓에서 이루어지고 붓은 손가락에서 움직여지며 손가락은 손목에서 움직여지며 손가락은 손목에서 움직여지며 손목은 팔뚝에서 움직여지며 팔뚝은 어깨에서 움직여진다.
그리고 어깨니 팔뚝이니 손목이니 손가락이니 하는것은 모두 그 오른 쪽 몸뚱이라는 것에서 움직여진다. 또한 오른 쪽 몸뚱이는 곧 그 왼쪽 몸뚱이에서 움직여지는 것이다. 그리고 웃 몸뚱이는 곧 하체에서 움직여지는데 하체라는 것은 두 다리이다.
두 다리가 땅을 딛는데 발가락과 뒷꿈치가 아래를 걸어 당기어 나막신 굽이 땅에 박히는 것처럼 하면 그러면 이것은 하체가 충실하다고 말 할 수 있다.
하체가 충실해져야만 그 이후에 능히 상체의 텅 빈 것을 움직여 갈 수 있다. 그러나 상체도 역시 그 충실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니 상체를 충실히 해야 한다.
상체는 엉겨 붙듯이 책상에 기대서 아래와 거듭 서로 이어져야 한다. 이로 말미암아 삼체(三體)가 충실해지면 오른쪽 한 체(體)의 빈 것을 움직여 나아갈 수 있는데 여기서 오른쪽 한 체라는 것은 지극히 충실해지게 된다.
然後肩運肘 由肘而腕而指 皆各以至實 而運至虛. 虛者其形也 實者其精也 其精也者 三體之實之 所融結於至虛中者也. 惟其實也 故力透乎紙 其虛也 故精淨乎紙.
그런 뒤에 어깨로써 팔뚝을 움직여 나가고 팔뚝으로 말미암아 손목을 움직여 나가며 손목으로 손가락을 움직여 나가는데 모두 각각 지극히 충실함으로써 지극히 텅 빈 것을 움직여 나가게 된다.
비었다는 것은 그 형태이고 충실하다는 것은 그 정기다. 그 정기라는 것은 삼체의 충실한 것이 지극히 빈 가운데서 무르녹아 맺힌 것이다.
오직 그 충실한 까닭으로 힘이 종이를 뚫고 그 빈 까닭으로 정기가 종이에 맑게 배어나온다.
點劃者 生於手者也. 手挽之向於身 點畫之屬乎陰者也. 手推之而摩諸外 點畫之屬乎陽者也. 一推一挽 手之能爲點劃者 如是 舍是則非所能也. 是故陰之畫四 側也努也掠也啄也 皆右旋之 運於東南者也. 陽之畫四 勒也趯也策也磔也 亦左旋之 運於東南者也. 吾之手生於身之西北 故能券舒於東南 若運於西北 弗能也. 强而行之 縱譎怪橫生 君子不由也.
점획이라는 것은 손에서 생기는 것이다. 손이 그것을 몸 쪽으로 끌어당기면 점획은 음에 속하는 것이고 손이 그것을 밀어내어 밖으로 내치면 점획은 양에 속하는 것이 된다. 한 번 밀어내고 끌어당기는 것으로 손이 능히 점획을 만들 수 있는 것이 이와 같은데 이를 버리고는 할 수 없다. 이런 까닭으로 음의 획 넷인 측, 노, 략, 탁은 모두 오른 쪽으로 돌려서 동남쪽으로 움직여 나간 것이며 양의 획 넷인 늑, 적, 책, 책은 역시 왼쪽으로 돌려서 동남쪽으로 움직여 나간 것이다.
우리 팔이 몸의 서북쪽에서 나 있는 까닭으로 능히 동남쪽으로 말고 펼 수(券舒) 있는 것이니 만약 서북쪽으로 움직여 나간다면 될 수 없을 것이다.
억지로 해서 비록 엉터리로 괴상하게 마구 만들 수는 있겠지만 군자는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다.
<秋史 金正喜 '書訣’>
글씨가 법도로 삼아야 할 것은 텅 비게 하여 움직여 가는 것이다.
마치 하늘과 같으니 하늘은 남․북극이 있어서 그것으로 굴대(추)를 삼아 그 움직이지 않는 곳에 잡아매고 그런 뒤에 능히 항상 움직이는 하늘을 움직여 가게 할 수 있다. 글씨가 법도로 삼는 것도 역시 이와 같을 뿐이다.
이런 까닭으로 글씨는 붓에서 이루어지고 붓은 손가락에서 움직여지며, 손가락은 손목에서 움직여지고, 손목은 팔뚝에서 움직여지며, 팔뚝은 어깨에서 움직여진다. 그리고 어깨니 팔뚝이니 손목이니 손가락이니 하는 것은 모두 몸뚱이라는 것에서 움직여진다. 또한 오른쪽 몸뚱이의 위쪽에서 움직여지는 것이다.
그리고 웃 몸뚱이(상체)는 곧 아래 몸뚱이(하체)에서 움직여지는데 아랫 몸뚱이라는 것은 두 다리다. 두 다리가 땅을 딛는데 발가락과 뒤꿈치가 아래를 끌어당기어 나막신 굽이 땅에 박히는 것처럼 하면 그러면 이것은 아랫 몸뚱이가 충실하다고 말할 수 있다.
아래 몸뚱이가 충실해져야만 그 이후에 능히 웃 몸뚱이의 텅 빈 것을 움직여 갈 수 있다. 그러나 웃 몸뚱이도 역시 충실함이 있어야 하는 것이니 왼쪽 몸뚱이를 충실하게 해야 한다.
왼쪽 몸뚱이는 엉겨 붙듯이 책상에 기대서 아래와 거듭 이어져야 한다. 이로 말미암아 세 몸뚱이가 충실해지면 오른쪽 한 몸뚱이의 빈 것을 움직여 나갈 수 있는데 여기서 오른쪽 한 몸뚱이라는 것은 지극히 충실해지게 된다.
그런 뒤에 어깨로서 팔뚝을 움직여 나가고 팔뚝으로 말미암아 손목을 움직여 나가며 손목으로 손가락을 움직여 나가는데 모두 각각 충실히 함으로써 지극히 텅 빈 것을 움직여 나가게 된다.
비었다는 것은 그 형태이고 그 충실한 것은 그 精氣다. 그 정기라는 것은 세 몸뚱이의 충실한 것이 지극하게 빈 가운데서 무르녹아 맺힌 것이다. 오직 그 충실한 까닭으로 힘이 종이를 뚫고, 그 빈 까닭으로 정기가 종이에 맑게 배어 나온다(淸虛).
書之爲道。虛運也若天然。天有南北極。以爲之樞紐。繫於其所不動者而後。能運其所常動之天。書之爲道。亦若是則已矣。是故書成於筆。筆運於指。指運於腕。腕運於肘。肘運於肩。肩也肘也腕也指也。皆運於其右體者也。右體則運於其左體。左右體者。體之運於上者也。而上體則運於其下體。下體者兩足也。兩足著地。拇踵下鉤。如屐之有齒以刻於地者。然此之謂下體之實也。下體實矣而後。能運上體之虛。然上體亦有其實焉者。實其左體也。左體凝然據几。與下貳相屬焉。由是以三體之實。而運右一體之虛。而於是右一體者。乃其至實。夫然後以肩運肘。由肘而腕而指。皆各以至實而運至虛。虛者其形也。實者其精也。其精也者。三體之實之所融結於至虛之中者也。惟其實也。故力透乎紙。其虛也。故精淨乎紙。點畫者生於手者也。手挽之向於身。點畫之屬乎陰者也。手推之而麾諸外。點畫之屬乎陽者也。一推一挽。手之能爲點畫者如是。舍是則非所能也。是故陰之畫四。側也弩也掠也啄也。皆右旋之。運於東南者也。陽之畫四。勒也趯也策也磔也。亦左旋之。運於東南者也。吾之手生於身之西北。故能卷舒於東南。若運於西北。弗能也。强而行之。縱譎恠橫生。君子不由也。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