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難得糊塗 經 - 板橋 鄭燮 (1693~1765)
聰明難糊塗難 총명란호도난-총명하기도 어렵고 어리석기도 어렵다
由總明轉入糊塗更難 유총명전입호도경난-총명한 사람이 어리석게 되기는 더욱 어렵다
放一着退一步當下心安 방일착퇴일보당하심안-집착을 버리고 한 걸음 물러서 마음을 놓아버리면 편안하다
非圖後來福報也 비도후래복보야-후에 복을 받고자 도모함이 아니다
*爲人위인-자기를 낮추는 기술
內智外愚 내지외우-속은 지혜로우나 겉으로는 어리석게 하라
內巧外拙 내교외졸-안은 교묘하나 겉으로는 서투르게 하라
不飛不鳴 불비불명-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
委曲求全 위곡구전-자신을 굽혀 일을 성사 시켜라
大柔若剛 대유약강-크게 유약하나 강한 척하라
大進若退 대진약퇴-크게 전진하나 후퇴하는 척하라
居安思危 거안사위-편할때 위기를 생각하라
無爲而爲 무위이위-행함이 없이 행하라
*辦事 판사-물러섬으로 전진하는 책략
深藏若虛 심장약허-깊이 감추어 마치 없는 것처럼 하라
容貌若愚 용모약우-욤모를 마치 어리석은 것처럼 하라
能忍則安 능인즉안-인내할 수 있어야 평안하다
順水推舟 순수추주-물길을 따라 배를 저어라
欲擒故縱 욕금고종-잡기위해 놓아주어라
緘口自重 함구자중-입을 다물고 자중하라
藏器于身 장기우신-무기를 몸에 감추어라
托陰行陽 탁음행양-음을 돋보이게 하여 양을 행하라
*處世 처세-화합의 원칙
和氣致祥 화기치상-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
吃虧是福 흘휴시복-손해보는 것이 바로 복이다
以德報怨 이덕보원-덕으로 원수를 갚아라
自得基樂 자득기락-스스로 그 기쁨을 얻어라
戒急用忍 계급용인-급한 것을 경계하고 인내를 이용하라
*社交 사교-누구와도 원만하게 처세하는 기교
說着易做着難 설착이주착난-말하긴 쉬워도 행동하긴 어렵다
是也朦朧非也朦朧 시야몽롱비야몽롱-알아도 몽롱하고 몰라도 몽롱하라
合不得分也不得 합부득분야부득-더해서도 안되고 나누어서도 안된다
滿者損之機 만자손지기-가득차면 덜어지게 되어 있고
虧者盈之漸 휴자영지점-비어있으면 점점 차게 된다
損於己則盈於彼 손어기즉영어피-자기가 손해보면 다른이가 이익본다
各得心精之半 각득심정지반-그러면 각자 심정의 절반씩을 덛는 것이다
而得我心安卽平 이득아심안즉평-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을 얻게 되니
且安福卽在時矣 차안복즉재사의-어찌바로 복을 받은 때가 아니겠는가.
'漢學♡書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菜根譚 1-056 (讀書) (0) | 2025.03.19 |
---|---|
白居易 座右銘 (0) | 2025.03.17 |
書訣 金正喜 (0) | 2025.03.13 |
野雲比丘 - 自警文 (0) | 2025.03.13 |
友人會宿 (0) | 2025.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