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감상

公無渡河歌

by 권석낙 2023. 3. 20.

公無渡河歌 (공무도하가)

公無渡河 (공무도하)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公竟渡河 (공경도하) 임은 그예 물을 건너고 말았네

墮河而死 (타하이사) 물에 휩쓸려 돌아가시니

當柰公何 (당내공하) 임이여 이를 어이할꼬.

- <해동역사> -

 

*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우리나라 시가 사상 가장 오래된 것이다. 고조선 시대 뱃사공 곽리자고(藿里子高)의 아내인 여옥(麗玉)이 지은 노래라고 한다.

 

<배경설화>

고조선의 뱃사공(津卒) 곽리자고(藿里子高)란 사람이 있었다

그가 새벽에 일어나 배를 저어 가는데, 흰 머리를 풀어헤친 한 남자(白鬚狂夫)가 술병[壺]을 들고 물살을 헤치며 강을 건너고, 그의 아내가 쫓아가며 말리고자 했는데, 이미 때는 늦어 남자는 결국 물에 빠져 익사하고 말았다.

물에 빠져 죽은 흰머리의 미친 사내의 아내는 공후(箜篌)를 가져와 타며 슬피 공무도하(公無渡河)란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 그 소리가 너무나 처량하였다.

그리고 그 노래가 끝나자 아내도 남편을 따라 스스로 물에 뛰어들어 죽고 말았다.

 

곽리자고가 집에 돌아와 아내 여옥(麗玉)에게 그가 본 부부의 비극을 이야기하니 여옥도 슬퍼하며, 공후를 가져와 그 소리를 재현하여 후대에 전했는데, 그 가락이 너무나 애절하여 듣는 이들 중에 울지 않는 이가 없었다고 한다.

 

*작품 감상

◆성격 : 개인적 서정 가요

◆정서와 태도 : 체념적, 애상적, 서정적

◆표현 : 시적 화자의 정서(이별로 인한 한)를 직서적으로 표현

◆짜임(구성)

* 1, 2행 : 임의 떠남(원망)

* 3, 4행 : 임의 죽음(탄식과 체념)

◆형식 : 4언 4구의 한역시

◆중요 시어 및 시구

* 물 → 이별, 죽음의 이미지

* 임이여 이를 어이할꼬 → 체념과 한탄과 애상의 정서, 여인의 정열(貞烈),화자의 정서가 집약됨.

◆주제 ⇒ 임과 사별한 슬픔과 한(恨)

◆관련작품

① 정지상의 <송인(送人)> - 이별의 이미지를 지닌 '물'의 기능이 유사

② 고려가요 <서경별곡> - 이별을 제재로 했지만, 적극적인 시적화자의 태도가 돋보임.

③ 고려가요 <가시리> - 소극적인 태도는 유사. 감정을 절제하며 재회를 기대하는 화자의 태도

④ 김소월의 <진달래꽃> - 소극적인 태도는 유사. 감정을 절제하는 화자의 모습

◆별칭 : 공후인(악곡명)

◆작자 : 백수광부의 아내

※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라는 견해도 있음.

◆의의

①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서정시가

② 고대인의 세계관과 사랑에 대한 생각이 나타남.

③ 이 에 나타난 이별과 죽음에서 나오는 한의 정서는 <정읍사>,<가시리>,<서경별곡>,<진달래꽃> 등으로 이어지는 민족 정서의 전통을 마련함.

 

[ 작품에 대한 여러 견해들 ]

⑴ 여성의 비극적 상심(傷心)을 노래한 것으로 <정읍사>, <가시리>, <진달래꽃>으로 연결되는 전통적 정한의 세계를 표현한 작품

⑵ 남편을 따라 죽어야 한다는 일부종사(一夫從事)라는 전통적 여인의 정절의 마음을 노래한 작품

⑶ 백수광부는 술의 신(酒神:희랍신화의 디오니소스, 로마신화의 바쿠스)이고, 그의 아내는 주신을 따라다니는 음악의 신으로 표현되어 '충만한 깊이'인 물의 이미지를 통해서 사랑과 죽음을 맞바꿀 수 있다는 강렬한 애정 지상주의를 표현한 작품

 

[ 이해 및 감상 ]

<공무도하가>는 한국적인 여심을 노래한 첫 번째 작품이다. 간결하고도 직접적인 표현 속에 여인의 비극적 상심(傷心)이 거침없이 표현되고 있다. '공무도하'라는 시구는 임과의 이별을 거부하는 여인의 절규가 생생하게 들리는 듯하여 이 노래의 비장미를 더해 주고, 임과의 만남을 지속시키려는 여인의 처절한 몸부림이 '건너지 말라'는 짤막한 표현 속에서 이미 비극적 종식을 예감하기에 이른다. '공경도하 타하이사'는 비극적 여심을 불러 일으키는 상황의 서경적 묘사로 애절한 행복을 지속시키려는 의지가 마침내 무너지고마는 이별의 상황인 것이다. 임의 죽음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이 '당내공하(當柰公何)'에서 볼 수 있듯이 남편을 걱정하던 아내의 마음이 결국 아내마저 죽음을 선택하고 마는 극한으로 치닫게 하고 있다.

 

[ 생각해 볼 문제 ]

1. 각 행에 나오는 '물'의 상징적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생각해 보자.

→ 1행(사랑의 충만), 2행(임(사랑)의 부재), 3행(사랑의 종언(終焉))

 

2. 이 작품을 서정시로 볼 수 있는 이유는 ?

→ 슬픔과 한이라는 개인적 정감을 노래했기 때문에.

 

3. 이 작품의 국문학사적 의의는 무엇인가 ?

→ ① <황조가>와 더불어 현존하는 최고의 서정시

② 원시적 집단적 서사시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옮아가는 과도기적 작품

 

[ "물(강)"의 의미에 대해 ]

이 작품에 등장하는 물은 '만남과 헤어짐'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 의미 심장한 시어라 보여진다. 즉 백수광부가 강물에 빠져 죽음으로써 산 자와 죽은 자를 가르는 이별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하면, 남편의 죽음을 보고 아내도 따라 물에 빠져 죽음으로써 남편과 새로운 차원의 만남을 성사시키는 만남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기도 한 것이다.

'문학♡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향  (0) 2023.04.28
누구나 혼자이지 않은 사람은 없다  (0) 2023.03.29
봄이 오는 길목에서  (0) 2023.02.24
내 가슴이 허락한 사랑  (0) 2023.01.10
진달래(꽃)에 관한 시  (2) 2023.01.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