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霞帔帖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하피첩(霞帔帖)
노을 하(霞 ), 치마 피(帔), 문서 첩(帖)
"하피첩(霞帔帖)은 노을빛 치마로 만든 소 책자이다"
2005년 수원의 어느 모텔 주인이 파지를 마당에 내어놓았는데,
폐품을 모으는 할머니가 지나가다가 파지를 달라고 했다.
모텔 주인은 할머니 수레에 있던 이상한 책에 눈이 갔고,
그는 책과 파지를 맞바꿨다.
그리고 혹시나 해서 KBS "진품 명품"에 내놓았다.
김영복 감정위원은 그 책을 보는 순간 덜덜 떨렸다고 했다.
"진품 명품" 현장에서 감정가 1억원을 매겼고,
떠돌던 이 보물은 2015년 서울 옥션 경매에서
7억 5,000만원에 국립민속박물관에 팔렸다.
하피(霞帔)는 옛날 예복(禮服)의 하나이다.
"붉은 노을 치마"를 말한다.
다산(茶山)은 천주교를 믿었던 죄로 전남 강진으로 귀양을 갔었다.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마재에 남았던 아내 홍씨는 남편
귀양 10년째 되는 해, 시집올 때 입었던 치마를
그리운 마음을 담아 남편에게 보냈다.
그 치마에 다산(茶山)이 두 아들에게 주는 당부의 말을 쓰고
책자로 만든 것이 하피첩(霞帔帖)이다.
다산(茶山)은 치마의 한 조각을 남겨 "매화"와 "새"를 그려서
족자를 만들어 시집을 가는 딸에게 주었다.
이것이 "매조도(梅鳥圖)"이다.
"근(勤) 검(儉)-<부지런 함과 검소함>-
두 글자는 좋은 밭이나 기름진 땅보다 나은 것이니 한 평생을 써도
닳지 않을 것이다" 라고. 어머니의 치마에 쓴 글씨, 세상에서
이 보다 더 값진 보물이 있을까?
다산(茶山) 부부의 애절했던 사랑을 담고서 세상을 떠돌아 다니던
하피첩(霞帔帖)은 국립민속박물관에 자리를 잡았다.
정약용(丁若鏞)의 위대함은 이루 말할 수 없지만 아내의 노을빛
치마의 애뜻한 사랑 이야기는 200년의 세월을 넘어
지금도 우리들 가슴을 잔잔히 적신다.
근검(勤儉)하라는 다산(茶山)의 그 한마디는 이 시대를 사는
우리 모두에게 심금을 울리는 명언이다.
'漢學♡書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自強不息 厚德載物 (0) | 2025.04.04 |
---|---|
雲菴 雪夜 / 운암(雲菴)의 눈 오는 밤 (0) | 2025.04.02 |
菜根譚 1-056 (讀書) (0) | 2025.03.19 |
白居易 座右銘 (0) | 2025.03.17 |
難得糊塗 - 鄭燮 (0) | 2025.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