遊子吟 - 孟郊
慈母手中線(자모수중선) 자애로운 어머니 수중의 침선이
遊子身上衣(유자신상의) 바로 길을 떠나는 아들이 몸에 걸친 옷을 만들었지
臨行密密縫(임행밀밀봉) 떠날때 촘촘히 기우시는 것은,
意恐遲遲歸(의공지지귀) 행여 늦게 돌아올까 걱정하신 때문이지.
誰言寸草心(수언촌초심) 뉘 말하리오 한 뼘 풀같이 미약한 효심으로,
報得三春暉(보득삼춘휘) 삼춘(三春)의 따사로운 빛 같은 어머니 마음을 보답할 수 있다고.
▶ 遊子(유자): 오랫동안 집을 떠나 먼 곳에서 지내는 이
▶ 臨行(임행): 먼 길을 떠나다.
▶ 密密(밀밀): 조밀하다. 촘촘하다.
▶ 遲遲(지지): 늦어지다.
▶ 寸草心(촌초심): 아들의 효심이라는 것이 작은 풀처럼 아주 미약한 것을 가리킴.
▶ 三春(삼춘): 음력으로 맹춘孟春, 중춘仲春, 계춘季春의 봄 석 달.
▶ 三春暉 : 봄의 따스한 햇빛. ‘어머니의 사랑’을 비유함.
‘아들[寸草]이 어머니[三春暉]를 생각하는 마음이, 어머니가 자식을 생각하는 사랑에 비하여 너무 보잘 것 없음’을 뜻하는 구절임.
*감상(鑑賞)
이 시는 지은이가 인양현위로 있을 때인 54세 때 지은 작품으로, “어머니를 빨래하는 냇가에서 맞이하여 지었다.”고 스스로 밝힌 주석이 있다고 하고, 또 ‘길손의 노래’로 길 떠나는 나그네가 자기를 생각하고 있을 어머니의 慈情(자정)을 느껴 지은 시라고도 한다.
아무튼 아주 단순한 내용을 묘하게 표현하여 자식된 사람으로서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눈물짓게 하는 명작이다. ‘어머니는 멀리 떠나려는 자식에게 못 가도록 말리지는 못하고, 아들이 입고 갈 옷을 다시 한 번 살피며 해진 곳을 다시 꼼꼼히 꿰매신다.
이렇게 꼼꼼히 손보는 것은 혹시라도 사랑하는 이 아들이 더디 돌아오지나 않을까 하는 마음에서이다.
생각이 짧은 아들이야 어머니의 이 깊은 심중을 알기나 할까.
아마도 모를 것이 당연하나니 부모의 은혜를 모두 갚는 자식이 세상에 있을 수 있겠는가.’ 하는 내용으로 끝 연은 名句(명구)이다.
5행의 誰言을 ‘難得(난득)’이라 하고 6행의 暉 자를 ‘輝(휘)’로 쓴 자료도 있다.
압운(押韻), 평측(平仄)
六句體 五言詩(6구체 5언시). 평운으로 압운했지만 6행뿐인데다가 평측도 고르지 못해 ‘5言古風詩(5언 고풍시)’라고도 하며, 제목에 ‘吟’을 붙였으므로 樂府體詩(악부체시)라 하기도 한다.
압운은 衣, 歸, 暉 자로 평성 ‘微(미)’ 평운이다.
평측은 차례로 ‘平仄仄平仄, 平仄平仄平, 平平仄仄平, 仄仄平平平, 平平仄仄平, 仄仄平平平’으로 둘째 구가 이사부동에 어긋나고 점법이나 반법에 맞지 않음은 당연한 일이지 이 시의 欠缺(흠결)은 아닌 것이다.
'漢詩♡講座'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郊 - 遊子吟 (1) | 2024.10.17 |
---|---|
山中問答 (0) | 2024.07.25 |
漢詩 鑑賞 (0) | 2023.01.10 |
東茶行→東茶頌→東茶經 (0) | 2020.04.21 |
심희수 & 일타홍의 사랑 (0) | 2020.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