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觀(관)할지어다
금강경(金剛經)의 제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에 나오는 사구게(四句偈) 내용입니다.
사구게란 글자 그대로 경전에 등장하는 네 글귀로 된 게송을 의미합니다.
네 글귀로 되어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경전의 말씀을 의미하지요.
다시 말해 경전 가운데서 네 글귀로 된 짧은 한 문구 만이라도 읽고 외우며
남을 위해 설명해 주라는 말인데 꼭 사구게로 정형화된 틀 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경전에 등장하는 그 어떤 짧은 법문이라도 소중하게 받아지니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온갖 유위의 법은 꿈 같고 환상과 같고 거품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 같고 번개 같으니 응당 이렇게 관(觀) 할 지어다."
유위법은有爲法)은 중생들이 미혹으로 윤회를 거듭하는 세계인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를 말하는 것으로,
욕계(欲界)는 탐욕이 많아 정신이 흐리고 거칠며 물질에 속박되어 있는 가장 어리석음의 세계를 말하며,
색계(色界)는 욕심은 적지만 성내는 버릇이 남아 있어 물질의 지배를 아주 벗어나지는 못한, 비교적 밝은(정신)세계를 말하며,
無色界(무색계)는 탐욕과 성냄은 떨어져 물질의 영향은 받지 않지만 아직 나(我)라는 생각을 버리지 못해 정신적으로 걸림이 남아 있는, 그중 깨끗한 세계를 말하는 것으로 비물질의 세계, 즉 오온 중의 사온(수·상·행·식)만으로 이루어진 세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다시 '단계적인 4처'로 구성되어 집니다.
공무변처(空無邊處): 욕계와 색계의 모든 물질적 형상을 떠나 공(空)의 무한성을 관찰하는 경지.
식무변처(識無邊處): 공무변처를 초월하여 인식 작용의 무한성을 관찰하는 경지.
무소유처(無所有處): 집착할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관찰하는 경지.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상념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것도 아닌 경지로, 거칠은(욕계·색계의) 생각은 없지만 깊은 생각이 아주 없지 않은 경지. 근기나 수행에 의한 차별된 인식의 세계 전체를 표현한 유위법(有爲法)의 세계를 바르게 보라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상의상관성(相依相關性) · 연기(緣起)의 도리(道理)에 의한 ·제행무상(諸行無常)하고 제법무아(諸法無我)'인 이법(理法)의 내용을 바르게 보지 못하고, 오온의 현상에 현혹되어 마음을 일으키지 말고, 바르게 볼(觀)줄 알아야 한다는 것으로 금강경 전체 가르침의 끝부분을 장식하는 결론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불교의 가르침은 어렵지 않다고 말합니다. '바꾸면 된다'고 합니다. 무엇을 바꾸는가 하면 내 마음(心)을 말함 입니다. 마음 바꾸는 것 한순간이라고 합니다. 친구에서 원수로 변하는 것, 원수에서 은인으로 변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입니다. 즉 원수가 되는 길과 아닌 길을 선택하는 우리의 '순간 순간' 마음을 말함입니다.
우리가 상대에 대한 도움 안되는 존재, 의미없는 존재, 또는 필요한 존재·가까이 하고픈 존재가 되는 것, 우리의 행동 등 모두는 나 자신이 선택하며, 시작한다는 것 입니다. 힘 듭니다. 이것이 힘듬니다. 중생이라는 입장에서는 '생·노·병·사'의 과정도 힘들고 괴로움이 따른다고 하지만,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 실천하며, 나아가고 지켜감에 힘이 겨워, 어디까지인지 그 깊은 뜻을 바로 이해하는 것도 '힘듬'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 가르침을 피난처로 삼아 의지해 머물면서 수행·정진을 하는 것이며, 하나씩 하나씩 이해하며 느끼며, 받아들여 가는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9grLU/btrZITg7uFr/FMKr0TwkkAKJlCpTrIog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bc6jf/btrZNLhxRn2/U3uvvGY7VPkzuGBqMA5D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CFe/btrZJVMeOJ7/QmlswcOfEvCNeE3W71ffn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rMC8/btrZInwhrLU/Z5Rj0SQLsyQ6BVBbe63i7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VoQg/btrZJcgnu7s/pyvbPjkhpVTTg5jHz6fRS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ak8R/btrZKn9AawQ/IdMCk7RSyOwm7tHTIlJk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d6j3/btrZK25c06b/8rYyeQyhSFKPVUbxTexo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L2WH5/btrZKxqTdTv/E9nMwsuddrBi2w3CzjTI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NuO2/btrZJ2xUGtf/8HV7JaWkQdpBRWkFRY2EJ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68th/btrZLRWFgT2/XujZ1GdMggNKwaK4xMKT7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1YcJ/btrZJXJ4BvH/RjAsQwXHTZfkruh7koDN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x2SZ/btrZIfro6Qj/YX1dzbdpUzKh7cMWk9Mqm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RBgr/btrZLUlv3dg/2KgSr7HYHG4bkeP2khpjMk/img.jpg)
'漢學♡書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祖壇經 (0) | 2023.02.18 |
---|---|
菩提本無樹 明鏡亦非臺 (0) | 2023.02.18 |
柔弱謙下 (0) | 2023.02.17 |
崔子玉-座右銘 (0) | 2023.02.16 |
思親 (어머니 생각) (0) | 2023.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