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1810호 퇴계 이황 건강체조 1/4 文玉 敎職노트24-18 ━━━━━━━━━━━━━━━━━━━━━━━━━━━━━━━━━━━━━━━ 퇴계 이황(1501~1570)의 건강체조 눈을 감고 편하게 앉아 마음을 가다듬는다. 자세는 무릎을 고이고 책상다리를 한다. 2. 천고이십사(天鼓二十四) 두 손을 머리 뒤로 돌려 깍지를 끼고 조용히 숨을 쉰다. 숨소리는 들리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한다. 아홉 번 호흡을 계속 한다. 호흡이 끝나면 깍지 낀 손을 그대로 둔 채 두 팔을 앞으로 오므려 머리를 감싸듯 한다. 팔을 서서히 앞쪽으로 이동시켜 손목 안쪽을 이용해 천천히 귀를 막은 뒤 가운뎃손가락으로 양쪽 귀 뒤쪽을 동시에 스물네 번 튕긴다. 이 방법을 반복할 때는 두 손을 악수하듯 엇갈리게 잡고 앉아 잠시 마음을 통일시킨다. |
주간조선1810호 퇴계 이황 건강체조 2/4 文玉 敎職노트24-19 ━━━━━━━━━━━━━━━━━━━━━━━━━━━━━━━━━━━━━━━ 퇴계 이황(1501~1570)의 건강체조 4-1. 적룡교수혼(赤龍攪水渾) ‘붉은 용(赤龍)’이란 사람의 혀를 뜻한다. 혀를 입안에서 휘저어 이의 구석구석을 닦아내듯 서른여섯 번 돌린다. 혀를 돌리면 입안에 침이 고이는데 이것을 신수(神水)라고한다.
4-2. 폐기악수열(閉氣握手熱) 침을 만들어 삼킨 다음엔 다시 반가부좌를 하고 숨을 멈춰 폐기(閉氣)한 뒤 코로 조금씩 맑은 기를 들이마신다. 이어 두 손을 꽉 잡고 추켜든 뒤 화끈한 느낌이 들 때까지 폐기와 호흡을 계속 반복한다. 폐기하는 시간이 조금씩 길어지면 손에 열기를 느낄 수 있다. |
주간조선1810호 퇴계 이황 건강체조 3/4 文玉 敎職노트24-20 ━━━━━━━━━━━━━━━━━━━━━━━━━━━━━━━━━━━━━━━ 퇴계 이황(1501~1570)의 건강체조 허리 6. 좌우녹로전(左右녹로轉) ①머리를 숙이고 한쪽 팔을 뒤로 돌려 손을 주먹쥐어 허리에 댄다. 어깨를 올렸다 내리면서 흔들기를 서른여섯 번 한 뒤 팔을 바꿔 반대쪽 어깨를 다시 서르여섯 번 오르내린다.②두 팔을 모두 허리 뒤로 돌려 주먹을 쥔다. 두 어깨를 동시에 올렸다 내리며 흔들기를 서른여섯 번 계속한다. 동작을 마치면 역시 폐기하며 단전에 화기를 몰아넣으며 정신을 가다듬는다. 동작이 모두 끝나면 두 다리를 죽 펴고 앉는다. |
주간조선1810호 퇴계 이황 건강체조 4/4 文玉 敎職노트24-21 ━━━━━━━━━━━━━━━━━━━━━━━━━━━━━━━━━━━━━━━ 퇴계 이황(1501~1570)의 건강체조 8. 저두반족빈(低頭攀足頻) 머리를 숙여 허리를 구부리고 두 손으로 발바닥 중심부를 잡아 끌어당신다. 숨을 깊이 참으면서 이 동작을 열세 번 정도 계속한 다음 반가부좌 자세로 앉는다. 이때 목구멍 속에서 물이 나오는 것처럼 입안에 침이 고인다. 만약 침이 고이지 않으면 충분히 고일 때까지 반복한다. 이렇게 생긴 신수(神水)는 적룡교수혼과 마찬가지로 세 번에 나눠 삼킨다. * 모든 동작이 끝나면 마무리를 할 때엔 적룡교수혼을 세 번 되풀이 한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