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講座

묏버들 가려 꺾어

by 권석낙 2019. 1. 28.



<♪ 묏버들 가려 꺾어 ♪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의 손에
자시는 창 밖에 심어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잎 곧 나거든 나인가도 여기소서
 +++++++++++++++++++++++++++++
묏버들 가려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대
자시는 窓밧긔 심거두고 보쇼셔
밤비예 새닙 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셔
*홍랑=(洪娘). 생몰년 미상. 
선조 때 함경남도 홍원(洪原) 출신의 기생
이맘때면 떠오르는 홍랑의 시조. 새록새록 사무치는 명편이다. 
하지만 그녀는 생몰 기록도 없는 조선시대의 여성이자 기생. 
정인(人)이었던 고죽(竹)
최경창(1539~1583)을 통해 연대를 짚어볼 뿐이다.
고전 시가에서 즐겨 쓴 정표 같은 버들. 
홍랑은 그 버들도 골라 꺾어 님의 손에 쥐여 보내겠단다. 
급이 높은 이별의 운치다. 게다가 쥐여 보낸 버들을 창 밖에 
심어두고 보라니, 밤비에 새잎이 나거든 나인가도 여겨달라니, 
어느 사랑이 이리 애틋하랴! 
홍랑을 부임지까지 데려가 살림을 차렸다가 
파직당한 고죽의 심중을 짐작할 만하다.
'시인 홍랑의 묘(詩人洪娘之墓)'는 그런 사랑의 파격이자 격조다. 
고죽의 시를 품고 3년 시묘를 한 홍랑의 지극함에 감동한 
최씨 문중이 고죽 가까이에 그녀의 묘와 시비(詩碑)를 세워준 것. 
그 앞뒤에는 홍랑 시조와 최경창의 한역시가 오롯하니, 
시를 아는 문중의 대접도 아름답다. 그런데 
고죽 곁의 홍랑은 여인으로 행복할까, 시인으로 더 충만할까?
고죽의 마음 또한 오죽했으랴. 
홍랑으로부터 건네받은 연정가를 
한문으로 그 자리에서 곧바로 옮겨 
번방곡(飜方曲)이라고 이름 붙여 각각 나눠 가졌다. 
번(飜)이란 번역한다는 의미이고, 방(方)이란 즉시란 뜻이니, 
번방곡은 즉시 번역한 노래라는 의미이다.  
고죽이 번역한 칠언고시 번방곡은 
그의 문집 고죽유고(孤竹遺稿)에 실려 있다. 
折楊柳寄與千里(절양유기여천리) 산에 있는 버들가지를 골라 꺾어 임에게 보내오니 
人爲試向庭前種(인위시향정전종) 주무시는 방의 창가에 심어 두고 보시옵소서. 
須知一夜生新葉(수지일야생신엽) 행여 밤비에 새 잎이라도 나면 
憔悴愁眉是妾身(초췌수미시첩신) 마치 나를 본 것처럼 여기소서. 

경기도 파주에 있는 홍랑의 묘소, 뒷편에 고죽의 묘소가 보인다





'漢詩♡講座'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조  (0) 2019.01.28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詩  (0) 2019.01.28
大東韻府群玉  (0) 2019.01.27
병풍에 대한 상식  (0) 2019.01.26
내사랑 황진이  (0) 2019.01.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