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筆♡揮之

24절후

권석낙 2019. 9. 21. 20:57

 

24 절후는 태음력을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다

 

  한, 중, 일 동양 3국에서는 수천 년 동안 달의 週期(주기)를 기준으로 "太陰曆(태음력)"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태음력은 1년이 약 353~4일 정도이기 때문에 2년 반마다 윤달을 넣어 태양 주기에 맞추었다.

  그렇지만 농작물이 자라려면 달빛은 아무 소용이 없다.

  그리하여 태양력을 기준으로 만들게 된 "24 절후"를 음력 1달에 2 절후씩 나누어 넣어 농사를 짓게 된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24 절후"를 자칫 "태음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이들이 많은 것이다.

 

[봄 → 입춘]

 

 ◎ 입 춘 : 2월 4일 경이다. 이 날에는 "立春大吉(입춘대길)" 등의 글씨를 써서 대문에 붙이고 봄을 맞을 채비를

     한다.

 ◎ 우 수 : 겨우내 꽁꽁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雨水(우수)"라 한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말이 전해 온다.

 ◎ 경 칩 : 3월 21일 경이다. 이 무렵, 초목의 싹이 돋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이 꿈틀대기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 춘 분 : 밤낮의 길이가 같아지며, 이 때 쯤에 강남 제비가 돌아온다.

 ◎ 청 명 : 이즈음 맑은 날이 많고, 나무를 옮겨 심기에 알맞은 때이다.

 ◎ 곡 우 : 뜻은 "봄비가 내려 온갖 곡식이 윤택해진다는 것이다.

 

韶 光 惱 人, 花 香 載 路 之 節

아름다운 봄날은 사람을 괴롭히는데,

꽃 향기가 길에 가득한 계절입니다.

 

 


 

[여름 → 입하]

 

 ◎ 입 하 : 5월 6일 경으로, 곧 여름으로 들어섰다는 뜻이다.

 ◎ 소 만 : 뜻은 "만물이 점차 조금 충만해진다."는 뜻이다. 이 기간에 보리가 익는다.

 ◎ 망 종 : 이 때 쯤, 모내기와 콩, 조를 파종하고 밀과 보리 베기가 이루어진다.

 ◎ 하 지 : 6월 22일 경으로,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길다. 이 날 이후로 북반구의 지구 표면이 태양의 직사열

     을 받아 더욱 더워진다.

 ◎ 소 서 : 날씨는 더위와 함께 습도가 높아 장마가 한창인 때이다.

 ◎ 대 서 : 중복 시기와 비슷하여 더위가 매우 심하고 장마로 인한 비도 많이 내린다.

 

荷 風 扇 暑, 蕉 雨 臨 涼 之 節

연잎에 부는 바람, 부채질도 더운데,

파초에 때마침 비가 내려 서늘한 계절입니다.

 



 

[가을 → 입추]

 

 ◎ 입 추 : 8월 8일 경이다. 입추 기간에는 아침 저녁으로 서늘한 바람이 불고 귀뚜라미도 운다. 이 때에는 이슬

     도 함께 내리게 된다.

 ◎ 처 서 : 뜻은 더위가 물러간다는 것이다. 이 때 논에는 벼가 무럭무럭 익어 간다.

 ◎ 백 로 :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흰 이슬이 맺힌다는 뜻이다. 제비는 돌아가고 대신 기러기가 오며,

     동물들은 겨우살이 준비를 시작한다.

 ◎ 추 분 : 9월 23일 경으로, 춘분과 함께 밤낮의 길이가 같게 된다. 이 시기는 가을걷이가 시작되고, 모든 곡식

     이 풍성할 때이다.

 ◎ 한 로 :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가 되며, 단풍이 짙어지고 국화가 노랗게 피기 시작한다.

 ◎ 상 강 :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밤에는 기온이 낮아져 서리가 내린다는 뜻이다. 초목이 누렇게 변하고 벌레들

     은 겨울잠에 들게 된다. 

 

雁 宿 叢 蘆, 雲 空 碧 漢 之 節

기러기는 갈대 숲에 잠이 들고,

구름 없는 하늘에 銀河(은하)가 푸른 계절입니다.

 



 

[겨울 → 입동]

 

 ◎ 입 동 : 11월 8일 경이다. 입동이란 말은 이제 겨울이 시작된다는 뜻이다. 이 때 얼음이 얼고 땅껍질도 얼기

     시작하는 때이다.

 ◎ 소 설 : 이 시기는 첫겨울의 징후인 눈이 내린다는 뜻이다.

 ◎ 대 설 :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뜻이지만, 실제 한겨울은 동지를 지나서부터이다.

 ◎ 동 지 : 12월 22일 경으로, 동지는 24절기 중, 세시 풍습이 가장 많은 절기이다. 이 날, 붉은 팥으로 죽을 쑤

     어 먹었는데, 역귀를 쫓는다는 의미이다.

 ◎ 소 한 : 대한이 더 춥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소한 때가 가장 추워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

     다."는 말이 생겨났다.

 ◎ 대 한 : 가장 춥다는 뜻의 대한이다. "소한 지나면 얼어 죽을 사람 없다."는 말도 있듯, 이 때 쯤이면 추위도

     누그러지고 봄 기운이 돌게 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梅 窓 橫 月, 簾 雪 飛 花 之 節

窓(창) 밖 매화에 달님도 기우는데,

주렴 밖의 눈은 꽃처럼 날리는 계절입니다.

 



 

 



 

偶 來 松 樹 下

高 枕 石 頭 眠

山 中 無 曆 日

寒 盡 不 知 年

 

                                                               소나무 아래

                                                               돌을 베고 누워

                                                               하늘을 본다

                                                               잠이 오려는가……!

 

                                                               책력도 없는

                                                               깊은 山中(산중)

 

                                                               추위가 다 하여도

                                                               한 해[年]가

                                                               다 간 줄도 모르고

 

 

  시헌력(時憲曆) : 明(명) 나라 毅宗(의종) 초기에 獨逸(독일)인 선교사 湯若望(탕약망 : 아담 샬)이 만든 歷法(역

      법). 그 법은 "太陰曆(태음력)"의 舊法(구법)에 "太陽曆(태양력)"의 원리를 부합시켜 《24 절기(節期)》의 시각

      하루의 시각을 정밀히 계산하여 만든 역법이다.

      우리나라에는 朝鮮祖(조선조)의 仁祖(인조) 22년에 金堉(김육)이 가져와 10년간 연구 끝에 孝宗(효종) 4년에 시행

      하였다.